수의학 해부 “내과, 외과, 영상의학… 결국 해부학이 바탕 아닐까요?”
수의학을 공부하거나 수의사를 꿈꾸는 사람에게 해부학은 반드시 넘어야 할 산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모든 진료의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매우 중요한 학문이기도 하죠.
수의학 해부학(Veterinary Anatomy)은 개, 고양이, 소, 말 등 다양한 동물의 신체 구조와 장기 위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지식은 수술, 영상 판독, 질병 진단 등 모든 임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개념
수의학 해부학은 동물의 신체 구조와 그 기능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과목입니다.
모든 임상 분야의 기초가 되며,
수의대에서는 1~2학년 기초과정으로 실습과 함께 학습하게 됩니다.
해부학 세부 분류
전신 해부학 | 전체 골격, 근육, 내장기관 구조 | O |
계통 해부학 | 소화계, 호흡계 등 각 시스템 별 구조 | O |
비교 해부학 | 개 vs 고양이 vs 소 vs 말 등 비교 | O |
발생학 | 태아기 구조 발달과정 | X (이론 중심) |
미세해부학 | 조직 수준의 구조 | 조직학과 연결됨 |
수의학 해부 골격계
수의학 해부 뼈는 단순히 몸을 지탱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혈액 생성, 칼슘 저장, 장기 보호까지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부위별 골격 구조
두개골 | 뇌두개, 안면두개 | 종마다 코와 이마 모양 다름 |
척추 | 경추(C), 흉추(T), 요추(L), 천추(S), 미추(Cd) | 개는 C7-T13-L7-S3-Cd20~23 |
앞다리 | 견갑골, 상완골, 요골, 척골 | 개는 쇄골 없음 |
뒷다리 | 대퇴골, 경골, 비골, 슬개골 | 고양이는 유연성 높음 |
흉곽 | 늑골 + 흉추 | 심장·폐 보호 |
수의학 해부 근육 움직임
수의학 해부 근육은 단순한 운동기관이 아니라, 자세 유지, 혈류 보조, 체온 유지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근육 그룹
목 | 사각근, 흉쇄유돌근 | 머리 회전, 고정 |
등 | 승모근, 광배근 | 견갑골 움직임, 허리 지지 |
앞다리 | 상완이두근, 삼두근 | 전진/후퇴 동작 |
뒷다리 |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 걷기, 달리기, 점프 |
복부 | 복직근, 외복사근 | 장기 보호, 배변 |
근육은 수의물리치료, 재활, 통증 관리에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 해부는 내과와 외과 모두에 중요한 구조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 해석에 필수입니다.
주요 장기 위치와 구조
구강 | 머리 앞쪽 | 이빨, 혀, 침샘 포함 |
식도 | 인두~위 연결 | 개는 강한 연동운동 가능 |
위 | 좌측 상복부 | 개는 단위 위, 반추동물은 4개 위 구조 |
소장 | 위~대장 | 흡수 기능 담당, 장간막 고정 |
대장 | 회장~직장 | 물 흡수, 배변 |
위의 위치와 크기는 품종마다 다르기 때문에, 복부 수술 전 반드시 영상검사와 함께 구조 확인이 필요합니다.
수의학 해부 심혈관계 호흡기
수의학 해부 심장과 폐는 몸의 중심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순환시키는 중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마취, 심장약, 수술 시 해부 지식이 필수입니다.
주요 구조 요약
심장 |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 | 좌측 흉부 위치, 청진 기준 중요 |
주요 혈관 | 대동맥, 폐동맥, 정맥 | 정맥 채혈 시 해부 지식 필수 |
폐 | 좌우엽 구성 | 개는 6엽, 말은 7엽 |
기관지 | 기관 → 좌/우 기관지 분지 | 분지 위치를 영상학과 연결 |
횡격막 | 흉강과 복강 구분 | 마취 중 호흡 유지에 영향 O |
폐 염색이나 부종은 영상과 실물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해부학 실습으로 촉각까지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 감각 행동과 반응의 중심
신경계는 동물의 모든 반응과 행동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척수 손상, 발작, 시각·청각 이상 등의 진단에 필수 지식입니다.
주요 신경 해부 정리
대뇌 | 좌우 반구 | 고등 감각 처리, 행동 |
소뇌 | 후두부 위치 | 균형, 협응 조절 |
척수 | C1~Cd 말단 | 운동 신경과 감각 신경 분포 |
말초신경 | 상완신경총, 좌골신경 등 | 특정 부위 지배, 통증/운동 담당 |
감각기관 | 눈, 귀, 비강 등 | 시각, 청각, 후각 등 제공 |
신경학 검사는 반드시 해부학적 지식에 기반한 반사 테스트와 함께 이뤄집니다.
동물별 비교
각 동물은 진화적으로 다른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질병 발생 위치나 치료 방식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동물 해부학 차이 비교
척추 수 | C7-T13-L7-S3-Cd20 | 동일 | T13~L6 | T18~L6 |
위 구조 | 단위위 | 단위위 | 반추위(4개) | 단위위 |
비장 위치 | 좌측 | 좌측 | 좌측 | 좌측 |
치식 | 42개 | 30개 | 32개 | 36~44개 |
귀 구조 | 수직+수평 이도 | 민감, 작음 | 움직임 적음 | 큰 외이개 존재 |
특히 말은 위 파열 시 구토를 못 하기 때문에 급성 위염은 매우 위험합니다.
수의학 해부 해부학은 수의사가 동물의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첫 번째 언어입니다.
수술, 영상, 내과, 마취, 응급처치까지 모든 분야에서 해부학 지식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