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의학 미생물 제대로 알기

by 수의학 블로거 2025. 3. 22.

수의학 미생물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을 겪게 될 때 그 원인이 단순한 외부 상처가 아닌 미생물(세균·바이러스·진균 등)에 의한 감염일 수 있다는 사실은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의학 미생물학(Veterinary Microbiology)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성 미생물을 연구하고, 질병의 진단·예방·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학문입니다.


수의학 미생물 의미

수의학 미생물 동물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미생물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에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곰팡이), 원충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감염병, 만성질환, 면역 질환, 인수공통감염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요 병원성 미생물 분류

세균 (Bacteria) 살모넬라, 파스튜렐라, 브루셀라 개, 고양이, 조류, 반추류 등
바이러스 (Virus) 파보바이러스, 코로나, 고양이 백혈병 반려동물 전반
진균 (Fungi) 말라세지아, 마이크로스포룸 주로 피부감염
원충 (Protozoa) 지알디아, 톡소플라즈마 강아지, 고양이, 사람 포함

미생물은 보이지 않지만, 동물 질병의 핵심 원인이며 예방접종, 항생제 처방, 감염병 관리 등 수의학의 핵심과 직결됩니다.


수의학 미생물 반려동물에게 흔한 세균 감염병

수의학 미생물 세균은 세포 구조를 가진 독립적인 미생물로, 항생제로 치료가 가능하며 외상, 장염, 호흡기 감염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주요 세균 감염 정리

살모넬라 음식, 분변 설사, 발열, 복통 항생제, 수액
브루셀라 교배, 체액 접촉 생식기 감염, 불임 장기 항생제 요법
파스튜렐라 교상, 기침 호흡기염, 상처감염 항생제
캄필로박터 대변 → 구강 장염, 식욕저하 대증 치료, 항생제
에리시펠로트릭스 피부 상처 심내막염, 발열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

세균 감염은 사람과 동물 모두 걸릴 수 있어, 올바른 손 위생과 배설물 처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수의학 미생물 바이러스

수의학 미생물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리 세포도 없는 미세한 입자로, 숙주의 세포를 조작해 증식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대부분 항생제가 효과 없고 백신을 통한 예방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대표 바이러스 질환

파보바이러스 장염 Canine Parvovirus 격심한 구토, 혈변 예방접종 필수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IP)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복수, 발열, 식욕부진 초기 진단 어려움, 항바이러스제 시도
고양이 백혈병 (FeLV) 레트로바이러스 면역 저하, 빈혈 예방접종 권장
개 디스템퍼 Morbillivirus 기침, 경련, 마비 예방접종 필수
코로나 장염 Canine Coronavirus 묽은 설사 대증요법, 백신 보조적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 억제, 합병증 유발이 심하기 때문에 초기 차단(백신)과 환경 위생이 핵심입니다.


진균 곰팡이 감염

진균은 곰팡이와 효모류를 포함한 미생물로,
대부분 피부, 귀, 발바닥에 감염을 일으키며
드물게는 호흡기나 전신감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균성 질환 요약

말라세지아 피부염, 외이염 귀와 발바닥에서 흔함 항진균제, 샴푸
마이크로스포룸 백선(링웜) 사람에게도 전염 가능 항진균제, 격리
아스페르길루스 비강 감염 코막힘, 비출혈 경구+국소 항진균제
히스토플라스마 폐 감염 드물지만 위험 항진균제 장기투여
칸디다 구강염 면역저하 동물에서 흔함 국소제, 면역 조절

곰팡이는 습한 환경, 면역저하, 오염된 물건과 관련 있으므로 건조한 환경 유지와 정기 미용이 예방에 중요합니다.


진단법

진단은 단순한 증상 관찰을 넘어서,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면역 반응을 측정하는 정밀한 검사를 통해 이뤄집니다.

대표 진단 방법

배양 검사 병원균을 키워 종류 파악 세균 감염 진단
항원검사(SNAP) 특정 바이러스 단백질 확인 파보, 코로나, FeLV
PCR 검사 유전자 기반 미생물 탐지 FIP, 브루셀라
항체 검사 감염 후 면역 반응 확인 백혈병, 톡소플라즈마
현미경 검사 균, 원충 직접 관찰 피부곰팡이, 기생충 등

진단이 정확해야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대응의 양대 축

항생제

사용 대상 세균 감염 시에만 효과
종류 페니실린계, 퀴놀론계, 테트라사이클린 등
주의점 내성 발생 가능, 처방 기준 지켜야 함
부작용 설사, 구토, 간독성 등 발생 가능

백신

역할 감염병 사전 예방, 집단면역 형성
필수 백신 파보, 디스템퍼, 코로나, 광견병 등
선택 백신 인플루엔자, 라이캔토 등
주기 1차~3차 기초 접종 + 연 1회 보강 접종

 백신은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정확하게 사용해야 효과적입니다.


사람과 동물이 공유하는 위협

수의학 미생물학의 중요한 응용 분야 중 하나는 Zoonosis(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사람과 동물이 함께 감염될 수 있는 병원균은 공중보건 위협 요인이 됩니다.

주요 인수공통감염병

광견병 Rabies Virus 개, 고양이, 야생동물 100% 치사율의 뇌염
브루셀라증 Brucella spp. 반려견, 소, 양 발열, 불임, 유산
톡소플라즈마증 T. gondii 고양이 임산부 태아 감염 위험
결핵 Mycobacterium bovis 소, 야생동물 폐 감염, 만성 질병
캄필로박터 장염 C. jejuni 개, 닭 식중독, 설사, 복통

반려동물과의 건강한 공존을 위해, 예방접종, 위생관리, 정기검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수의학 미생물 미생물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입니다. 수의학 미생물학은 단순히 병원균을 막는 학문이 아니라, 반려동물, 사람, 생태계 전체의 건강을 연결하는 중요한 열쇠입니다.